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인사이드 아웃으로 보는 마음 건강

by 퇴근하는 쉐프 2025. 9. 8.
반응형

인사이드 아웃

디즈니 픽사의 명작 <인사이드 아웃>에는 '라일리'라는 한 소녀와 그녀의 머릿속 여러 감정들이 일상을 이끌어가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기쁨이, 슬픔이, 버럭이, 소심이, 까칠이, 불안이, 당황이 등을 통해 우리는 마음 건강을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현실에서 어떻게 감정을 다뤄야 하고, 마음의 건강을 지켜야 하는지 그들과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워봅시다.

1. 기쁨이의 긍정 에너지

기쁨 이는 활기차고 밝은 태도로 라일리를 이끌지만 '항상' 기뻐야 한다는 압박감에 스트레스를 받는 캐릭터입니다. 우리는 이를 바탕으로 오늘 해야 할 일을 작성해 보고 작은 목표라도 달성하면 그 성취에 집중해 스스로를 칭찬해 봅시다. 또, 기쁨의 순간을 사진이나 글로 기록하여 힘든 날 꺼내보며 버틸 수 있는 에너지로 만들어봅시다. 하루 3가지 정도의 감사한 일을 기록하는 감사 일기 쓰기도 도움이 됩니다.

2. 슬픔이의 치유

슬픔은 나약함이 아닙니다. 처음엔 방해꾼 같았던 슬픔 이가 결국엔 라일리가 힘든 상황에 처했을 때 극복하게 만드는 열쇠였습니다. 즉, 슬픔은 치유의 시작입니다. 울음을 참지 않고 눈물로 쏟아냄은 감정을 해소하는데 중요한 통로역할을 합니다. 힘든 일이 발생하면 숨기지 않고 믿을 수 있는 사람과 나누거나 일기에 솔직하게 적어 감정을 정리해 봅시다. 슬픔을 나누면 반이 됩니다. 적어놓고 마주하면 현실과 답이 보이기도 합니다.

3. 버럭이의 변화의 원동력

분노는 파괴적이고 조절하지 못하면 관계에 있어 악영향을 줍니다. 하지만 때로는 부당함에 맞서는 힘이 됩니다. 심장이 빨리 뛰고 얼굴이 달아올라 화난 상태라고 몸이 신호를 보내면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합니다. 감정이 주체하지 못하게 되기 전에 5분간 잠시 자리를 피해 타임아웃을 가져봅시다. 가만히 삭히기가 힘들다면 달리기를 하거나 스트레칭, 청소 등 신체 활동을 하는 것도 분노 해소에 도움을 줍니다.

4. 소심이의 삐뽀삐뽀 경고등

최악의 상황과 최선의 상황을 비교하여 생각하여 자신의 불안이 실제보다 과장되진 않았는지 생각해 봅시다. 소심이라는 감정은 즉, 두려움을 뜻하는데, 이는 우리를 위험으로부터 경고해 주는 중요한 감정입니다. 앞에 나서기 어렵다면 새로운 사람을 자주 만나보고 다양한 크고 작은 발표자리에 서보며 도전부터 시도하여야 합니다. 너무 큰 불안이 찾아와 힘들 때면 478 호흡법을 추천합니다. 깊게 들이마시고 천천히 내쉬며 숫자를 세어봅시다. 회피하지 않고 맞서서 소심한 감정을 이겨낼 수 있습니다.

5. 까칠이의 방패막

까칠이는 지나치면 까탈스럽게 보이겠지만, 해롭거나 불쾌한 것으로부터 솔직하게 말함으로써 자신을 보호해 주는 감정입니다. 싫은 건 싫다고 이야기할 줄 아는 것은 건강한 정신입니다. 억지로 받아들이지 않고, 음식이나 취미, 사람 관계에 있어 나만의 기준을 세워 거절할 줄도 알고, 서로 간의 취향을 존중하는 법도 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관계 유지가 됩니다. 사소한 부분까지 완벽히 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렇지만 불필요한 까다로움은 줄여가 봅시다.

인사이드 아웃이 전하는 마음 건강 메시지

기쁨만 있으면 성장할 수 없고, 슬픔만 있으면 삶이 너무나도 무겁습니다. 까칠, 소심, 분노, 불안 등의 다른 감정들과도 조화를 이룰 때 우리는 더 건강히 나아갈 수 있습니다. 정신이 건강해야 몸도 건강할 수 있습니다. 모든 감정에는 각자마다 역할이 있으니 감정을 억눌러 살아가지 맙시다. 감정들을 받아들이고 힘든 감정은 나눠봅시다. 감정을 이해하고 표출할 수 있으면 마음 건강은 더 튼튼해집니다.

오늘 하루도 내 안의 작은 감정 친구들에게 귀 기울여 그들의 목소리를 들어봅시다. 기쁨에게 힘을 받고, 슬픔을 통해 치유하며, 버럭과 함께 분노를 원동력으로 발전하고, 소심이와 까칠이를 통해 나를 보호하는 여러분이 되기를 바랍니다. 한 감정에 치우쳐 일을 그르치지 않고 또 한 감정에 치우쳐 몸을 버리지 않길 바랍니다. 영화의 메시지처럼 모든 감정은 다 필요하고 모든 감정은 소중합니다. 건강한 감정으로 더 단단한 우리가 되어 봅시다. 

반응형